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경영 조직론

by 유쾌한 오드리 2023. 2. 28.
반응형

모든 조직의 바탕에는 조직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영 조직론은 조직의 구조, 행동 및 관리와 관련된 이론과 원칙에 대한 연구이다. 조직의 효율성, 생산성, 혁신성, 유연성, 안전성, 공정성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과 방법을 탐구하는 경영 조직론은 조직 내의 개인과 팀 간의 상호작용, 조직의 전략적 방향성, 조직의 문화와 정책, 리더십 및 의사결정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경영 조직론의 주요 개념에는 조직 구조, 조직 문화, 리더십, 의사결정, 인적 자원 관리 등이 포함된다.

* 조직 구조 : 구성 요소에는 조직의 계층 구조, 업무 분배, 의사 결정 프로세스 및 책임 분배와 같은 요소 등이 있다.

* 조직 문화 :  조직 내부의 가치, 믿음, 행동 및 규칙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직의 문화는 조직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더십 : 조직 내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능력으로, 조직원들의 동기부여, 창조성, 협력 및 성과 향상에 영향을 준다.

* 의사결정 : 조직 내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고,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 인적 자원 관리 : 조직 내에서 인력을 관리하는 프로세스로, 인력 확보, 교육 및 개발, 보상 및 인사 관리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경영 조직론은 조직 내부의 문제를 해결하고 조직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과 방법을 제공하며, 조직의 경쟁력과 성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능별 조직과 사업부제 조직

 

조직의 형태는 무엇을 축으로 삼느냐에 따라 기능별 조직과 사업부제 조직의 두 가지로 나뉜다.

 

'기능별 조직'이란 생산, 판매, 개발, 경리 등 담당하는 업무의 기능에 따라 조직을 세분화하는 형태로, 단일 사업을 좁은 범위에서 실시하는 중소기업의 대부분이 기능별 조직을 채택하고 있다. 기능별 조직의 장점은 가 부문에서 기술이나 지식의 축적이 가능하여 전문성을 발휘하기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화가 진행되면 상품 개발에 몰두하는 등 사업을 포괄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사업부제 조직'은 사업 분야별로 부문을 편성한 것으로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별로 역할 분담을 한다. 만약 명함에 에어컨 사업부, 텔레비전 사업부 등 제품 카테고리가 적혀 있다면 사업부제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비교적 규모가 큰 회사에서 사업부제 조직을 편성하고 있으며, GM이 처음으로 시작했다.

사업부제 조직의 장점은 같은 사업부 내에서 업무 연계가 용이하고, 제너럴리스트적인 시야와 지식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반면 기능별 조직처럼 특정 스킬을 축적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제너럴리스트 : 분야를 특정하지 않고 광범위한 지식, 기술, 경험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직종으로는 임원이나 관리직, 프로듀서, 총무, 인사 등이 해당된다.

 

[기능별 조직과 사업부제 조직의 차이]

기능별 조직 사업부제 조직
각 직원이 담당하는 업무 내용에 따라 부문을 나눈다. 담당하는 지역이나 제품 등에 따라 부분을 나눈다.

 

합리적인 시스템, 관료제

 

'관료제'라고 하면 융통성 없는 조직으로 보는 부정적인 시각이 있는데, 많은 회사에서는 이 '관료제'로 운영되고 있다. 규모가 큰 조직을 관리하는데 관료제는 매우 적합한 제도로,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이다. 막스 베버에 의해 관리제가 정립되었는데, 다음의 5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관료제의 5가지 특징]

1) 규칙 준수의 원칙 : 정해진 규칙을 따른다.

2) 권한의 원칙 : 각각의 직무 내용, 권한, 책임은 엄밀하게 정해져 있다.

3) 계층 구조의 원칙 : 조직의 하위층은 상위층의 결정을 따른다.

4) 공사 분리의 원칙 : 지위를 이용한 이익의 수수 등 조직을 사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한다.

5) 문서주의의 원칙 : 결정 사항은 모두 문서로 남긴다.

 

 

하향식, 관료제의 폐해

 

원활한 회사 운영을 위해 관료제는 적합하지만, 역기능도 있다. 바로 '혁신이 저해되는 것'이다. 상의하달이 철저한 관료제에서는 현장의 목소리가 상부에 닿기 어려우며, 재량권이 없는 현장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그러는 사이 상황은 시시각각 변하고, 조직은 시대에 흐름에 뒤처지게 되는 것이다. 

 

관료제처럼 권한이 상층부에 집중되고 최고 경영자의 지시에 움직이는 피라미드형 권한 구조를 가진 조직을 '기능적 조직'이라고 하며, 직무 권한이 유연하고 수평적인 정보 전달 구조를 가진 조직을 '유기적 조직'이라고 한다. 

* 피라미드형 권한 구조 : 최고의 자리에 가까워질수록 사람의 수가 줄어들고 주어지는 권한이 늘어나는 조직 구조로, '히에라르키형 조직'이라고도 부른다.

 

[기능적 조직(관료제)과 유기적 조직의 차이]

기능적 조직 유기적 조직
상하관계가 피라미드 형태로 뚜렷하고, 최고 경영자에 의해 움직이는 조직 구성원들이 수평적 관계를 이루며, 업무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조직

 

유연성이 성공의 열쇠다!

 

서비스의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유기적 조직의 장점을 도입한 기업으로는 리츠칼튼이 있다. 리츠칼튼에서는 직원이 현장에서 직접 판단하고 호텔이 정한 행동 가이드에 따라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직원에게 하루 2,000달러까지의 재량권을 부여했다. 이 재량권을 이용해 고객 우선의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기능적 조직과 유기적 조직은 모두 장, 단점이 존재하므로 두 조직을 회사의 상황이나 업무의 내용에 맞춰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형

댓글